-
구성도 R1, R2, R3 모두 RIPv2를 사용하게 되면 관리거리는 모두 120으로 우선순위를 두기 힘들다.
그럴 때 사용하기 위해 메트릭 Hop count를 사용한다.
그렇게 되면 제일 Hop count가 낮은 것을 우선순위로 이용하다가 문제가 생기면 다른 경로를 사용하게 된다.
R1 기본 설정 R1 RIPv2 설정 위 링크로 가면 RIPv2 설정 시 사용하는 명령어에 대한 대략적인 설명이 있다.
위 그럼처럼 설정을 끝내고 show run을 입력하면
R1 show run화면 network 192.168.1.0 만 나오고 network 192.168.1.8은 나오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Prefix 24를 사용하기 때문에 다 포함되어 있는 것이고, 보이지만 않는 것이지 사용하는데 있어서 문제는 없으므로 걱정안해도 된다.(RIPv2만 해당)
R1 show ip route 동일하게 R2, R3를 설정을 해주고 R1에서 확인을 해보면 RIP 설정이 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R1->R3 으로 가는 경로만 나와있고 R2로 가는 경로는 안 나와있다.
([120/1] 은 관리거리 120에 메트릭 1이라는 표현이다.)
R1 show ip route R2로 가는 경로가 표시 안된 것을 확인하기 위해 s1/1을 shutdown 시켜보니,
R1->R3 경로가 사라지고 R2를 거쳐서 가는 메트릭 2의 경로가 나타났다.
'CISCO'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distribute EIGRP, 원격접속(telnet) (0) 2022.01.11 EIGRP (0) 2022.01.10 Dynamic Routing Protocol(동적 라우팅 프로토콜), RIPv2 (0) 2022.01.09 Static route 관리거리 변경 (0) 2022.01.08 NAT(PAT 설정, Static NAT) (0) 2022.0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