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efault routeCISCO 2022. 1. 7. 11:49
Static route의 경우 목적지 네트워크 대역이 명확하게 나타나있는 반면,
Default route의 경우 라우팅 테이블에 목적지 네트워크 대역에 대한 정보가 없는 경우에 기존에 설정된 경로로 통신을 한다는 설정이다.
구성도 예시 R1 default 설정 ip route 0.0.0.0 0.0.0.0 192.168.1.2 로 설정하므로 ip와 서브넷마스크를 default로 설정해 모든 네트워크 대역으로 보내준다고 설정해준다.
그림을 보면 S*로 표시된 것을 볼 수 있는데, *은 candidate default 로 결과적으로 보면 static default 라고 표시된 것임을 알 수 있다.
R1에서 정확한 정보가 없으면 기본적으로 R2로 신호를 보내는 것으로 설정이 된 것이다.
나머지 R2와 R3에 기본 라우터 정보만 설정해주고 R1에서 ping을 보내면 통신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ISCO' 카테고리의 다른 글
Extended ACL (확장 ACL) - 1 (0) 2022.01.08 Packet Tracer 사용하기 (0) 2022.01.08 interface, 구성도 보고 네트워크 환경 구축, Static route 정적 라우팅 (0) 2022.01.06 Dynamics 사용하기 (0) 2022.01.04 OSI 7Layer, Router(라우터), 스위치, Protocol(프로토콜), Backbone (1) 2021.1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