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ynamics 사용하기CISCO 2022. 1. 4. 01:47
Virtual Service for XP&2003을 이용하여 서버를 열어준다.
10.CCNP에서 편집 10.CCNP를 우클릭 후 편집에 들어가 해당 프로그램과 연결된 CCNP_R8.net을 찾아서 열어본다.
CCNP_R8.net 해당 파일을 메모장에 연결하여 열게 되면 위 이미지와 같은 내용이 나오는데, 이후 CCNP.cmd에서 사용할 router의 설정값들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workingdir에 표시된 경로에 있는 파일을 Dynamics를 사용하기 전에 삭제 후 사용해야 이전 설정값들과 겹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장비 상태 확인 및 시작 CCNP.cmd 을 실행 후 list 명령어를 사용하면 다음과 같이 등록된 장비들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그림처럼 장비들이 stopped 되어 있는 것을 started로 바꿔주기 위해 start 명령어를 이용하여 R1, R2, R3 장비를 start 시켜준다.
telnet R1, R2, R3 명령어를 입력하여 3개 장비의 터미널을 열어준다.
R1,R2,R3 터미널 실행 화면 그림과 같이 3개의 터미널 창이 실행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처음에 초기 설정을 하겠냐는 질문이 나오는데 no를 입력하여 빠져나온다.
enable, show ip route 명령어 입력 화면처럼 처음엔 Router> 라고 나오는데 이것은 usermode로 관리자 권환이 없는 모드이다. 그러므로 enable 명령어를 입력하여 관리자 권한을 주도록 한다. (만약 password가 있다면 추가적으로 입력해줘야 한다.)
아직 화면에는 나오지 않지만 show ip route 명령어는 라우팅 테이블 정보를 보여달라는 명령어로 지금은 라우터와 연결된 것이 없기 때문에 아무것도 나타나지 않는다.
show ip interface brief show ip interface brief 명령어는 해당 라우터 장비에 있는 인터페이스들의 정보를 한눈에 보여달라는 명령어이다.
Status가 administratively down로 표시되어 있는 것은 관리자 권한으로 잠겨있는 것을 뜻하고 전부 3계층으로 동작하는 interface들이다. 반대로 up으로 표시된 항목은 2계층에 속해 있다.
3계층 인터페이스 : IP + S/M => 네트워크 대역 정보
3계층은 다른 네트워크 대역과 통신이 가능한 라인(외부와 통신이 가능한 라인이라 초기엔 잠겨있음)
2계층은 자신이 속한 네트워크 대역의 IP하고만 통신이 가능함(그래서 초기에 열려있음)
configure terminal configure terminal은 설정 모드로 들어가는 명령어로 설정을 하려면 무조건 해당 설정 모드로 들어가야함.
명령어를 입력하면 Router(config)#로 바뀐다.
hostname hostname 명령어를 입력하여 장비의 이름을 바꿀 수 있다. 이름은 되도록 겹치지 않게 설정해줘야 한다.
no ip domain lookup 명령어는 설정 시 오타를 쳤을 때 오타 내용이 뭔지 찾아보지 말라는 명령어이다.
no logging console은 명령어로 인해 장비 상태의 변화 발생 시 화면에 로그 정보를 보이지 말라는 명령어.
enable password cisco은 일반 패스워드 설정 명령어(password : cisco)
exit는 직전 모드로 빠져나갈 때 사용한다.
show running-config 는 현재 입력되어진 명령어를 보여달라는 명령어 (history느낌)
'CISCO' 카테고리의 다른 글
Default route (0) 2022.01.07 interface, 구성도 보고 네트워크 환경 구축, Static route 정적 라우팅 (0) 2022.01.06 OSI 7Layer, Router(라우터), 스위치, Protocol(프로토콜), Backbone (1) 2021.12.31 게이트웨이, 서브넷마스크, 서브넷팅, (0) 2021.12.27 IP, 서브넷마스크 (0) 2021.1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