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이트웨이, 서브넷마스크, 서브넷팅,CISCO 2021. 12. 27. 02:13
IP 주소를 확인할 때 기본 게이트웨이라고 나오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여기서 게이트웨이는 PC가 찾아가야 하는 네트워크 장비의 주소를 나타낸다.
IP와 서브넷마스크는 항상 같이 움직이고 이를 통해 네트워크 대역이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위 예시를 보면 PC는 연결된 네트워크 장비의 설정에 따라서 PC가 사용할 게이트웨이는 192.168.2.1 이고
서브넷마스크는 255.255.255.0 이다.
위 PC가 사용할 수 있는 IP 범위는 192.168.2.2 ~ 192.168.2.254 이다.
게이트웨이와 동일한 주소를 갖게 되면 충돌할 수 있기 때문에 게이트웨이 주소를 제외한 나머지가 범위에 해당한다.
서브넷팅: 서브넷 마스크를 입력할 때 크기를 조정해서 네트워크 대역 크기를 필요한 만큼 작게 만들어 사용하는 기능
예) 192.168.2.0/24 C클래스 대역을 쓰는 회사가 있다고 할 때,
A부서 10명에게 나눠준다고 하면 최소한 16크기의 네트워크 대역이 필요하다.
(네트워크ID, 브로드캐스트 IP 등 포함해서) 16 = 2의 4승
16크기일때 서브넷마스크 0~ 256을 16등분을 해준다고 생각하고 나눠주면
192.168.2.0 ~ 192.168.2.15
192.168.2.16 ~ 192.168.2.31
192.168.2.32 ~ 192.168.2.47
192.168.2.48 ~ 192.168.2.63
...
이런 식으로 16등분을 해줄 수 있다. 우린 이 중에서 하나를 뽑아서 사용하면 된다.
네트워크 대역 = IP + S/M (네트워크 대역은 IP와 서브넷마스크가 인터페이스에 입력될 때 결정된다.) 이므로 이를 참고하여
만약 IP : 192.168.2.1 S/M : 255.255.255.240 이면 사용하는 네트워크 대역은 192.168.2.0 ~ 192.168.2.15 이고 이 범위는 192.168.2.0/28이라고 표현할 수 있다.
B부서 50명에게 나눠준다고 하면 64크기의 네트워크 대역이 필요하고
64크기일때 서브넷마스크 대역이 나눠지는 경우의 수는
192.168.2.0 ~ 192.168.2.63
192.168.2.64 ~ 192.168.2.127
192.168.2.128 ~ 192.168.2.191
192.168.2.192 ~ 192.168.2.255
이렇게 나눠지고 이 중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A 부서에서 192.168.2.1을 갖는 대역을 사용한다고 했을 때, B부서에서 IP: 192.168.2.17 S/M:255.255.255.192 를 입력하면 네트워크 충돌이 발생하게 된다. 이유는 192.168.2.0 ~ 192.168.2.63 이 대역을 사용하게 되는데 A부서와 대역이 겹치기 때문이다. 또한 IP의 낭비가 심해진다.
이와 같은 경우 16개 크기를 먼저 할당한 후 64개 크기를 할당해서 생기는 문제이므로
큰 범위를 먼저 할당하는 방식으로 64개를 먼저 할당한 후 16개를 할당하는 방식으로 접근한다.
0~63(64)을 먼저 할당하고 64~ 79(16)을 할당하는 방식
연습문제)
192.168.2.0/24
A부서 : 20명
B부서 : 5명
C부서 : 100명
A부서 : 192.168.2.128/27 (32크기)
서브넷마스크 : 255.255.255.224
네트워크 대역 : 192.168.2.129 ~ 158
브로드캐스트IP : 192.168.2.159
네트워크ID : 192.168.2.128
B부서 : 192.168.2.160/29 (8크기)
서브넷마스크 : 255.255.255.248
네트워크 대역 : 192.168.2.161 ~ 166
브로드캐스트IP : 192.168.2.167
네트워크ID : 192.168.2.160
C부서 : 192.168.2.0/25 (128크기)
서브넷마스크 : 255.255.255.128
네트워크 대역 : 192.168.2.1 ~ 192.168.2.126
브로드캐스트IP : 192.168.2.127
네트워크ID : 192.168.2.0
'CISCO' 카테고리의 다른 글
Default route (0) 2022.01.07 interface, 구성도 보고 네트워크 환경 구축, Static route 정적 라우팅 (0) 2022.01.06 Dynamics 사용하기 (0) 2022.01.04 OSI 7Layer, Router(라우터), 스위치, Protocol(프로토콜), Backbone (1) 2021.12.31 IP, 서브넷마스크 (0) 2021.1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