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P, 서브넷마스크CISCO 2021. 12. 13. 15:56
IP + S/M(서브넷마스크) = 네트워크 대역(Network ID) 형성
IP : ID
S/M : ID가 소속되는 그룹의 크기를 결정
IP + S/M => 인터페이스에 입력해서 그룹(네트워크 대역) 넘버와 크기를 결정
라우팅 테이블 : 목적지 네트워크 대역에 속한 IP와 통신을 하기 위해서 어디로 가야하는지 경로 정보가 저장되는 테이블
IPv4의 주소체계는 총 12자리이며 네 부분으로 나뉜다. 각 부분은 0~255까지 3자리의 수로 표현되고 IPv4 주소는 32비트로 구성되어 있다.
네트워크 영역은 3개의 다른 크기로 나뉘는데
(1의 의미 : 네트워크 대역의 갯수)
(0의 의미 : 네트워크 대역의 크기)
A class 1 ~ 126
11111111.00000000.00000000.00000000
11111111 00000000 00000000 00000000 255 0 0 0 B class 128 ~ 191
11111111.11111111.00000000.00000000
11111111 11111111 00000000 00000000 255 255 0 0 C class 192 ~ 223
11111111.11111111.11111111.00000000
11111111 11111111 11111111 00000000 255 255 255 0 중간에 찍혀있는 (.)점들은 Octet이라고 하며 하나의 Octet은 8자리(8개의 비트)로 구성되어 있다.
C class를 봤을때, 0이 8개 : 2의 8승 => 256 (범위 : 0 ~ 255)
예) 나의 IPv4 주소가 192.168.1.254 이고, 서브넷마스크가 255.255.255.0 일때,
192.168.1.0 ~ 192.168.1.255 범위 중
범위의 맨 앞자리 : 192.168.1.0 => 네트워크 ID(네트워크 장비가 사용/ 네트워크 대역의 이름)
192.168.1.1 ~ 192.168.1.255 사이의 IP들이 192.168.1.0 대역에 소속
범위의 맨 뒷자리 : 192.168.1.255 => 네트워크 장비가 사용하는 브로드캐스트 IP
192.168.1.1 ~ 192.168.1.254
게이트웨이가 192.168.1.1 이면
PC에서 사용할 수 있는 IP 범위 => 192.168.1.2 ~ 192.168.1.254
모든 PC의 서브넷마스크는 255.255.255.0 게이트웨이는 192.168.1.1
192.168.1.0/24 로 표현가능
여기서 / 는 Prefix라고 하며 서브넷마스크 2진수 형태에서 1자리 갯수를 의미
'CISCO' 카테고리의 다른 글
Default route (0) 2022.01.07 interface, 구성도 보고 네트워크 환경 구축, Static route 정적 라우팅 (0) 2022.01.06 Dynamics 사용하기 (0) 2022.01.04 OSI 7Layer, Router(라우터), 스위치, Protocol(프로토콜), Backbone (1) 2021.12.31 게이트웨이, 서브넷마스크, 서브넷팅, (0) 2021.12.27